Wu HM; Seet B; Yap EP; Saw SM; Lim TH; Chia KS 2001.
빛이 굴절되는 부분의 굴절력이 높거나 빛이 많이꺽여 앞에 맺히거나, 덜꺽여 뒤에 맺히거나 혹은 면이 고르지 못해 찌그러져 보이거나 즉 유전적인 힘이 큽니다 물론 현대인들은 가까운것을 오래 보기 때문에 근시가 진행한다고 하며 아이들의 휴대폰을 뺏는 경우가 참 많습니다 책은 왜 안뺏는지 모르겠어요 ㅋㅋㅋㅋ 맞습니다 근거리 작업을 오래할경우에도 근시가 진행한다는 논문도 있습니다 많이 받아들여지고 있고요 눈의 크기가 비정상이거나 굴절력이 높거나 둘다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안경으로 교정은 가능하니까요 문제는!!! 1860년대에 난시는 안과에서 개념이 잘 확립되었으며, 여러 서적의 장 章 들이 난시의 발견을 기술하였다.